티스토리 뷰

카테고리 없음

문자의 기원과 발전

대도문 2023. 9. 30. 23:12

인류는 언제부터 언어를 사용하기 시작했을까? 그리고 언어를 기록하기 위해 어떤 방법을 사용했을까? 이 글에서는 인류 문명의 역사와 함께 문자의 기원과 발전에 대해 알아보겠다.

 

문자의 기원과 발전
문자의 기원과 발전

문자란 무엇인가?

문자란 언어를 기록하기 위한 상징 체계라고 정의할 수 있다. 언어란 인간이 의사소통을 하기 위해 사용하는 시스템으로, 주로 음성이나 수화 등으로 구현된다. 그러나 음성이나 수화는 시간과 공간에 제약을 받으며, 메시지가 왜곡되거나 손실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인간은 언어를 보존하고 전달하기 위해 다양한 매체와 방법을 이용하여 언어를 기록하였다. 이러한 매체와 방법을 통칭하여 문자라고 부른다.

 

문자는 거의 대부분 음성 언어를 기록하기 위해 생겨나거나 생성되었다. 예외적으로 수화나 상형문자와 같은 비음성 언어도 존재하지만, 그 비율은 매우 적다. 따라서 이 글에서는 주로 음성 언어를 기록하는 문자에 대해 다루겠다. 음성 언어를 기록하는 문자는 언어의 의미나 음성을 표현하는 상징들로 구성된다. 이러한 상징들은 소리나 모양, 색깔, 위치 등 다양한 형태로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글의 ㄱ은 소리를 나타내는 상징이고, 한자의 日는 모양을 나타내는 상징이다. 또한, 빨간색이나 파란색은 색깔을 나타내는 상징이고, 위나 아래는 위치를 나타내는 상징이다.

 

문자와 구어는 둘 다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유용하지만, 문자의 경우 정보의 저장과 전달을 신뢰할 수 있다는 점에서 차이가 있다. 구어는 말하는 순간에만 존재하고, 듣는 사람이 없으면 사라지기 때문에, 정보의 보존과 재생산이 어렵다. 반면에 문자는 종이나 돌, 금속, 플라스틱 등 다양한 매체에 기록되어 오랫동안 보존될 수 있으며, 읽는 사람이 있으면 언제든지 재생산될 수 있다. 또한, 문자는 구어보다 더 정확하고 명료하게 정보를 전달할 수 있으며, 해석의 오류나 왜곡을 줄일 수 있다.

문자의 기원과 발전

쐐기 문자: 인류 최초의 문자

인류가 최초로 사용한 문자는 쐐기 문자라고 불리는 것이다. 쐐기 문자란 기원전 3천 년 경에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 발명된 문자로, 점토판에 각도가 있는 막대를 찍어서 만든 것이다. 쐐기 문자는 주로 재고 관리나 사용료 징수 등을 기록하기 위해 사용되었다. 예를 들어, 양이나 곡물의 수량이나 품질, 거래 상대방의 이름이나 직위 등을 적었다. 쐐기 문자는 처음에는 상형 문자로 시작되었으나, 점차 표음 문자로 변화하였다. 즉, 그림으로 된 문자가 음절이나 낱소리를 나타내기 시작하였다. 예를 들어, '물'을 나타내는 그림은 'a'라는 소리를 표현하기도 하였다.

 

쐐기 문자는 메소포타미아 지역에서만 사용되지 않고, 다른 문화에도 영향을 미쳤다. 예를 들어, 이집트의 히에로글리프나 중국의 한자, 인도의 인도-유럽어 등은 쐐기 문자와 유사한 형태나 구조를 가지고 있다. 또한, 쐐기 문자는 인류 역사와 문명에 대한 중요한 자료가 되었다. 예를 들어, 기원전 18세기에 작성된 하마루라비 법전은 세계 최초의 법률 문서로, 쐐기 문자로 쓰여진 점토판으로 발견되었다. 또한, 기원전 7세기에 작성된 길가메시 서사시는 세계 최초의 문학 작품으로, 쐐기 문자로 쓰여진 점토판으로 발견되었다.

표어 문자: 문화와 의미의 상징

쐐기 문자와 함께 다른 지역에서도 각자의 목적과 특성에 맞게 표어 문자를 만들고 사용하였다. 표어 문자는 언어의 의미를 직접적으로 표현하는 문자로, 대부분 그림이나 기호와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표어 문자는 각각의 문화와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그 문화의 가치와 철학을 반영한다.

한자: 중국 문화의 정수

한자란 중국에서 발명된 표어 문자로, 중국 문화의 정수라고 할 수 있다. 한자는 기원전 2천 년 경에 완성되었으며, 약 5만여 개가 존재한다. 한자는 주로 상형 문자와 회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형태와 발음을 암기해야 한다. 한자는 중국의 역사와 문화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중국인들의 사상과 신앙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天(하늘)은 천명이라는 개념을 나타내며, 中(가운데)은 중화라는 개념을 나타낸다.

히에로글리프: 이집트 문명의 기록

히에로글리프란 이집트에서 발명된 표어 문자로, 이집트 문명의 기록이라고 할 수 있다. 히에로글리프는 기원전 3천 년 경에 완성되었으며, 약 7천여 개가 존재한다. 히에로글리프는 주로 상형 문자와 표음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형태와 발음을 암기해야 한다. 히에로글리프는 이집트의 역사와 문화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이집트인들의 신화와 종교를 반영한다.

마야 문자: 마야 문명의 미스터리

마야 문자란 중미에서 발전한 표어 문자로, 마야 문명의 미스터리라고 할 수 있다. 마야 문자는 기원전 3세기부터 기원후 16세기까지 사용되었으며, 약 8백여 개가 존재한다. 마야 문자는 주로 음절 문자와 상형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형태와 발음을 암기해야 한다. 마야 문자는 마야의 역사와 문화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마야인들의 천문학과 수학을 반영한다.

표음 문자

표음문자란 언어의 음성을 간접적으로 표현하는 문자로, 대부분 소리나 발음과 같은 형태로 나타난다. 예를 들어, 가나의 か는 'ka'라는 소리를 표현한다. 표음 문자는 각각의 문자가 간단하고 적으므로, 학습과 기억이 쉽다는 장점이 있다. 예를 들어, 가나는 약 50여 개의 문자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각의 형태와 발음을 쉽게 암기할 수 있다. 표음 문자의 단점은 각각의 문자가 의미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다른 언어와의 소통이 어렵다는 점이다. 예를 들어, 가나는 일본어와만 호환되며, 다른 언어 사용자가 이해할 수 없다. 표음 문자에는 다음과 같은 종류가 있다. 

가나: 일본 문화의 변화

가나란 일본에서 발전한 음절 문자로, 일본 문화의 변화라고 할 수 있다. 가나는 9세기부터 10세기에 완성되었으며, 약 50여 개가 존재한다. 가나는 주로 한자음을 간단하게 쓴 것으로, 각각의 형태와 발음을 암기해야 한다. 가나는 일본의 역사와 문화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일본인들의 사상과 신앙을 반영한다.

알파벳: 서양 문명의 기반

알파벳이란 서양에서 발전한 음소 문자로, 서양 문명의 기반이라고 할 수 있다. 알파벳은 기원전 8세기부터 기원후 1세기에 완성되었으며, 약 26개가 존재한다. 알파벳은 주로 페니키아 문자를 변형한 것으로, 각각의 형태와 발음을 암기해야 한다. 알파벳은 서양의 역사와 문화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서양인들의 과학과 예술을 반영한다. 

한글: 한국 문화의 자랑

한글이란 한국에서 발명된 음소 문자로, 한국 문화의 자랑이라고 할 수 있다. 한글은 1443년에 완성되었으며, 약 40여 개가 존재한다. 한글은 주로 음성 자질을 나타내는 기본 요소들을 조합하여 음절을 구성하는 것으로, 각각의 형태와 발음을 암기해야 한다. 한글은 한국의 역사와 문화와 깊은 연관이 있으며, 한국인들의 철학과 예술을 반영한다. 예를 들어, ㄱ(기역)는 혀끝을 뒤로 젖히는 모양으로, 단단함을 나타내며, ㅇ(이응)는 입을 동그랗게 하는 모양으로, 평화를 나타낸다. 

결론

이 글에서 소개한 문자 체계 외에도 다른 종류의 문자가 존재한다. 예를 들어, 모스 부호나 브라유 점자와 같은 특수한 목적을 위한 문자나, 이모티콘이나 이모지와 같은 현대적인 표현 방식 등이 있다. 독자들은 이러한 다른 종류의 문자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지고 탐구해 볼 수 있을 것이다.